지렁이 퇴비로 텃밭 가꾸기, 지렁이는 환경 파수꾼
- 부업의 세계
- 2022. 11. 7.
얼마 전, 아이가 학교에서 생명과학시간에 지렁이를 2마리 분양받아 왔습니다. 지렁이를 굳이 키우고 싶지는 않았지만 막상 알을 낳는 것까지 관찰하고 싶다는 아이의 바람을 저버릴 수 없었어요. 방생 대신 베란다에 있는 상자텃밭에 지렁이의 집을 마련해주고 음식도 종종 제공해주며 키우다 보니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(어디 있는지 모름) 왠지 정이 들어버린 것 같아 지렁이 키우기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지렁이 키우기(feat. 지렁이의 특징, 먹이주기, 지렁이 집)
평상시에는 자발적 백수이지만 간헐적 직장인으로 변신하는 엄마 덕분에 저희 아이들은 학교에서 하는 방과 후 프로그램을 즐겨 듣습니다. 예전과 달리 학교에서 방과 후에 들을 수 있는 수업
almondbanana.co.kr
지렁이 분변토란
지렁이 분변토는 지렁이의 똥을 말합니다. 지렁이가 무엇인가를 먹고 소화시켜 만들어 낸 배설물이 바로 지렁이 분변토인데, 지렁이 분변토는 식물의 분갈이에 많이 활용이 되곤 합니다. 저희 집에도 아이들이 여기저기에서 가져온 식물들이 참 많은데, 분갈이를 할 상토를 구매하러 가면 '지렁이 분변토'라는 흙이 따로 있더라구요. 지렁이 분변토로 텃밭에서 농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정용 화분 분갈이를 해 두면 식물 뿌리가 잘 자리 잡는데 도움이 되고 생장도 촉진시켜줍니다. 더하여 토양환경도 개선해준다고 하니 참 좋은 흙임에 분명합니다.
지렁이 분변토에는 다양한 혼합물이 섞여 있는데, 이러한 혼합물을 퇴비화하면 지렁이 퇴비가 만들어집니다. 지렁이퇴비의 주요 성분에는 부식산이라는 것이 있습니다. 바로 칼슘, 철, 인이나 칼륨과 같은 중요 영양물질을 식물이 필요로 할 때 식물이 쉽게 흡수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성분이기에 지렁이 퇴비를 사용하면 식물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.

지렁이 퇴비 활용하기
지렁이 퇴비를 사용하면 식물의 생장을 촉진해줄 수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 먼저 식물의 싹을 틔울 때는 씨앗을 심을 곳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놓은 후, 지렁이퇴비를 살짝 뿌려주고 씨앗을 심어줍니다. 이렇게 하면 씨앗이 발아하여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을 충분히 얻을 수 있습니다.
모종을 심을 때도 같은 방법으로 지렁이 퇴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 모종이 들어갈 자리마다 지렁이 퇴비를 넣어주면 됩니다. 지렁이 분변토는 식물의 뿌리에 직접 닿게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 따라서 분갈이를 할 때 일반 상토만 사용하기보다는 지렁이 분변토를 상토와 섞어서 사용해주시면 식물의 영양공급에 더욱 도움이 됩니다.
특히 아이들이 집에서 종종 심어보는(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받아오는) 토마토나 딸기 같은 열매채소에 사용하시면 좋은데요, 웃거름으로 사용할 때는 뿌리 주변에 1~2cm정도 뿌려주면 끝입니다. 아이들이 받아오는 토마토나 딸기가 매번 키우다가 죽어버리는 바람에 아이들이 아쉬워했는데, 내년에는 지렁이 분변토로 웃거름을 좀 줘 보아야겠습니다.
다윈도 칭찬한 지렁이
어떤 것이라도 부술 수 있을 것 같고 토양의 독성과 중금속을 없앨 수 있다는 점에서 찰스 다원은 지렁이를 가장 좋아하는 유기체로 꼽았다고 할 정도로 지렁이는 참 유용한 생물인 것 같습니다. 물론 엄마로서 지렁이를 집에서 키우는 것이 참 좋은 것은 아닙니다만 지렁이가 생산한 분변토가 이렇게 식물의 생장과 성장에 유용하다니 징그럽게만 느껴졌던 지렁이가 달리 보입니다. 도시농업에도 최근 들어 더 많이 사용되고 각광받는다는 지렁이 분변토, 저희 집 지렁이들도 저 상자텃밭 속에서 예쁜 집 짓고 똥 많이 싸서(?) 저희 집 상추들이 무럭무럭 자라면 좋겠네요! :D
'부업의 세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우리집에 아이맥이 왔다(feat. 전보다 더 많이 쓰라는 지령이 떨어졌다) (0) | 2022.11.19 |
|---|---|
| 공부습관을 바꾸고 싶다면 21/66법칙으로! (0) | 2022.11.18 |
| 현대백화점 H포인트로 생활비 절약하기(feat. 디지털 폐지줍기의 묘미) (1) | 2022.11.05 |
| 서울도서관 10주년 이벤트 & 특별전시회 (1) | 2022.10.27 |
| 코로나와 독감백신, 함께 맞아도 될까? (1) | 2022.10.27 |